82년생 김지영, 낯설지 않은 우리의 이야기
오늘 소개할 영화는 베스트셀러 소설을 영화로 만든 '82년생 김지영'입니다. 영화 개봉 전부터 지나친 페미니즘 영화라는 혹평을 받아야 했던 영화였습니다. 한국사회가 여자 대 남자로 나뉘어 서로 피해자라며 영화를 두고 크게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원작자도 여자로 살아서 억울하다고 소설을 만들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뿌리 박혀 있는 우리 사회 편견의 한 모습을 표현하고자 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왠지 낯설지 않은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82년생 김지영의 영화 이야기 이제 시작해 보겠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내용 보기
언니와 세계 일주를 하고 싶었던 어린 지영이는 평범하게 자라 직장생활을 시작합니다. 보통 사람처럼 내 꿈은 아니더라도 내 일이 있고 내 자리가 있는 직장이 있어 열심히 일했습니다. 한 명의 사회인으로 직장 안에서 인정받고 싶었습니다. 좋은 사람을 만나 결혼도 했습니다.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하면서 지영은 엄마가 되었습니다. 지영은 없고 엄마만 남았습니다. 아무 문제없을 것 같았던 평범한 일상 계속되었습니다. 겉 보이기에는 별 문제없어 보였습니다. 지영을 사랑해 주는 남편이 있고, 예쁜 딸을 낳아 잘 키워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영의 마음에는 구멍이 생겨났습니다. 남편 대현은 어느 날부턴가 지영이 이상함을 느끼게 됩니다. 다른 사람이 된 듯 말을 하는 지영의 모습은 낯설다 못해 너무나 이상했습니다. 지영은 때로는 알고 지낸 친구가 돼서 말하고, 때로는 친정엄마가 된 거처럼 말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결국 양가 가족 모두 지영의 문제를 알게 됩니다. 대현은 결국 지영에게 지영의 문제를 다 설명해주고 병원을 가길 권하게 됩니다. 착한 남편 대현은 지영을 위해 대신 육아휴직을 하려고 합니다. 아내 지영의 삶을 돌려주고 싶은 마음으로 말입니다.
82년생 김지영, 엄마도 나도 내 딸도
82년생 김지영 영화로 나온다고 했을 때 그래 아무리 바빠도 이 영화는 꼭 보고 싶었습니다. 소설도 유명했지만 수많은 논란 속에서도 영화가 개봉되었기 때문입니다. 아직 소설을 읽기 전이여서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도 매우 궁금했습니다. 주인공을 맡은 공유, 김유미 배우를 보면서 영화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습니다. 영화 속 지영은 아이를 돌보기 위해 결국 직장을 그만두게 됩니다. 자기 일을 포기한 지영, 조금씩 자신의 모습을 잃어가는 느낌이었습니다. 현실의 벽 앞에 매번 힘없는 우리의 초라한 모습이 영화 안에 있었습니다. 영화 속 지영에게는 다행히 착한 남편이었습니다. 든든한 지원군 남편은 지영을 위해 육아휴직을 자처합니다. 현실에서도 그런 든든한 지원군이 많다면 좋을 텐데 때로 현실이 더 냉혹할 때가 많습니다. 영화 속 지영은 남편의 도움으로 자신의 꿈을 찾았을까요? 육아와 일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잘 잡았을까요? 현실의 김지영은 대부분 하나를 포기합니다. 하나도 잘해 나가기 어려운데 둘 다 잘 하기는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육아는 사랑하는 아이를 위한 일입니다. 일은 나 자신을 위한 일입니다. 엄마이기 전에 지영은 그냥 김지영 일뿐입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김지영은 늘 시소를 타는 기분입니다. 둘 다 포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꿈과 현실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합니다. 둘 다 포기할 수 없어 슈퍼우먼이 되고자 합니다. 본인이 선택한 것이 아니라 상황이 그렇게 지영을 만듭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과 소설 82년생 김지영
저는 영화를 보고 소설을 뒤늦게 봤습니다. 역시 원작의 이야기를 다 담아내기는 힘들었던 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짧은 시간 안에 소설을 담아내기는 힘들었을 것입니다. 영화에서는 주인공 지영이 자신을 꿈을 찾아 나서는 걸로 마무리되지만, 소설은 지영을 바라보는 의사의 시각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됩니다. 소설에서 지영이는 여자라는 키워드 우리 사회에 어떤 편견과 싸워야 하는지 철저하게 보여줍니다. 그래서 더욱 공감이 되었습니다. 여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잘 그려냈습니다. 여자라서 받아야 하는 차별, 여자라서 무시받아야 하는 것들, 여자라서 참아야 하는 것들이 참 많은 한국 사회입니다. 나의 엄마도 엄마의 엄마도 그렇게 살아왔습니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영화와 소설이 말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남자로 사는 게 좋다고 말할 수도 없는 게 현실이기는 합니다. 그래도 아직 우리 사회가 남자보다 여자에게 희생을 많이 요구한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소설이기 때문이 많은 세상 일들을 한 사람에게 집약해 쓰려고 했다고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여자라면 공감할 부분이 너무 많은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92년생 김지영은 삶은 82년생 김지영보다 행복하길 바라봅니다.
댓글